Categories: 담임목사님 칼럼, 웹매거진

불통 전화

불통 전화

신기한 기계
처음 집에 전화를 설치한 것은 초등학교 1학년 때였습니다. 그것은 ‘공전식 전화’였습니다. “따르릉! 따르릉!” 소리가 나면 수화기를 들고 상대화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전화를 걸고 싶을 때에는, 수화기를 들고 교환원에게 원하는 곳에 연결시켜 달라고 주문하면 되었습니다. 직접 만나지 않고도 대화를 가능한 기계가 너무도 신기하였습니다.

그 후로 계속 전화의 기능이 발전되었습니다. 원하는 번호를 손가락에 껴서 끝까지 돌렸다 놓는 방식의 ‘다이얼 전화’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그 후에, 간편하게 번호를 누르기만 하면 되는 ‘버튼식 전화기’를 사용하기도 했지요. 이때까지 일반전화와 공중전화는 모두 선을 이용하였고, ‘무선 전화기’가 소개되면서 통신의 혁명을 불러왔습니다. 차를 타고 다니거나 바깥을 걸으면서 자유롭게 통화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후로 더욱 발전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영상 전화기’와 ‘문자 전화기’의 기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얼굴을 보면서 대화를 합니다. 나아가서, 전화기가 개인 컴퓨터 기능을 대신하면서, 전화기 구입에만 들어가는 비용도 상상을 초월할 정도입니다. 많이 발전했습니다.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변화될 것인지 무척 궁금합니다.

새로운 삶의 패턴
통신 기술의 발달은 집안 살림의 부담을 지고 있는 주부들에게 별로 좋은 소식이 되질 못했습니다. 전화를 사용하기 위해 당연히 통신비를 지불해야 하지만, 부담해야 하는 액수가 이전에 비해 엄청났고, 실제로 갈수록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어느 곳에서나 전화사용이 가능하고 장거리 전화에 대한 부담이 사라졌지만, 그만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 것입니다.

어른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되었던 전화기를 지금은 어린 아이들까지도 사용합니다. 기죽이지 않으려고 할 수없이 구매해서 손에 쥐어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아무쪼록 전화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니 통신비 지출이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통신의 혁명이 우리에게 가져다 준 분명한 삶의 변화가 있습니다. 전화기를 멀리하고 살 수 없는 생활의 패턴이 자리를 잡은 것입니다. 오래전에도 전화를 사용하였지만, 그 때에는 삶의 일부에 불과하였습니다. 현재는 어떻습니까? 전화기가 옆에 없으면 불안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누군가에게 중요한 전화가 걸려올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반복되는 일상생활로 인하여 ‘전화기 중독’이란 중병에 걸리게 된 것입니다.

한 통계에 의하면, 일반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하루에 110번 정도 전화를 확인한다고 합니다. 화장실에서, 샤워하면서, 잠자기 전 침대에서, 차를 운전하면서, 멀리 휴가를 떠나서도 전화기를 손에서 떼놓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중독 치료 전문가에 의하면, 의도적으로 전화기를 집에 두고 외출한 후 본인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면 자신이 중독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한번 시도해 보시지요.

나눔의 의미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나눔의 의미’에 대한 양극화 현상이 생겨났습니다. 하나는, 대화를 나누는 상대와의 친밀감이 사라진 것입니다. 만나서 얼굴을 보면서 대화를 하던 문화가 중단이 되고, 전화사용이 일반화되면서부터 생겨난 현상입니다. 특히 목소리가 아니라 ‘문자’를 통해 의사 전달하면서 상대에게 자신의 감정을 철저히 숨길 수 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나눔의 의미’가 희석되고 있습니다. 굳이 마음을 나누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에 익숙해져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사실 통신 기술로 인해 기계적이며 형식적인 인간관계를 부축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나눔의 의미’에 대한 양극화의 다른 현상은, 위에 설명한 내용과 정반대의 모습입니다. 통신 기술이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 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학교를 졸업한 뒤 전혀 소식이 없던 친구들과 소통이 가능해졌습니다. 그 중에는 안부라도 전해 듣고 싶어 오랫동안 사방팔방으로 알아보았지만 전혀 불가능했던 친구들도 있습니다. 간혹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과거의 추억 속으로 함께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 큰 행복입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멀리 있는 가족과 친밀한 삶을 나눌 수 있게 된 것이지요. ‘이웃사촌’이란 말이 있습니다. 멀리 있는 친척보다 옆집에 살면서 자주 보는 분들이 더욱 가깝게 느껴진다는 것이지요. 감사하게도, 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먼 곳에 살고 있는 가족들과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도 집을 떠나 있는 아이들과 자주 연락을 취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온 가족이 카톡방을 만들어 함께 삶을 나누고 있는 것도 감사한 일입니다. 통신 기술은 지역을 초월하여 가족을 하나로 묶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습니다.

안부 전화
가족이 전화로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확인하는 것에 익숙해진 후, 연락이 없으면 뭔가 불안감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혹시 몸이 아픈 것은 아닌지, 아니면 갑작스레 걱정할 만할 일을 당한 것은 아닌지, 안부를 확인할 때까지 염려하게 됩니다. 가깝게 지낼수록 더욱 이런 마음을 갖게 됩니다.

지난 2월 어머니께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후, 제게 아주 이상한 버릇이 생겼습니다. 전화를 들었다가 잠시 생각하고 그냥 그 자리에 내려놓는 것이었습니다. 시카고에 계신 어머니께 자주 전화를 드렸기 때문인지, 돌아가신 후에도 이런 일이 계속되었던 것 같습니다. 전화를 들고 하는 생각은 빤한 것이지요. “아, 돌아가셨지..” 아직 돌아가셨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는 상황 속에서, 이 순간이 자주 찾아올 때마다 이미 텅 비어버린 가슴이 울렁거렸습니다. 그 감정을 이겨내는 것이 그리 쉽지 않았습니다. 3달이 지난 지금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5월입니다. 곧 ‘어머니의 날’을 맞게 됩니다. 작년까지는 ‘나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노래를 불러드렸는데, ‘성인 고아’가 된 후 처음으로 그냥 지내게 되었습니다. 조금은 힘들겠지만, 결코 우울하지 않은 마음으로 이 날을 보내지 않을 것 같습니다. 평생 사랑을 나누었던 어머니를 주신 것도 감사하지만, 안부를 물으며 삶을 나눌 수 있는 우리 가족과 교회의 성도님들을 주신 하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릴 것입니다.